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MySQL
- elasticIP
-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 Node
- vscode
- 리액트코드정렬
- next #middleware
- 자연수 뒤집어 배열로 만들기
- dotenv
- 자동완성방지
- prettier
- interactive_timeout
- express
- 프리티어
- react
- reacts3
- useReducer
- 프로그래머스
- axios
- utf8mb4
- 코드정렬
- AWS
- s3확장자
-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 .env
- max_allowed_packet
- 리액트
- 코딩테스트
- EC2
- 커밋 한번에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36)
Sungtt

개요 포트폴리오를 만들던도중 문자열 변환을 해야할 상황이 찾아왔다. 크롤링한 각 사이트의 날짜양식이 달랐기때문이다. 양식을 통일하기위해 문자열을 변환해야했으며, 존재만 알았지 실제로 코드에 적용해본적 없는 메서드들이라 예상한 시간보다 쪼끔 더 헤맸다. 그런 기념으로 어떻게 사용했는지 기록하고자한다. 나는 공간을 더 적게 차지하여 비교적 눈이 편안한 우측의 00.00.00-00.00.00 양식으로 통일하기로 했다. 그럴려면 우측에서 삭제해야할 문자열은 공백, / , 연도 앞 2자리 총 3가지 문자열을 삭제하고, / 의 자리에는 . 을 넣어주어야했다. 사용한 메소드들의 기능을 다시 한번 훑고가자. replace replace 메서드는 어떤 패턴에 일치하는 일부 또는 모든 부분을 원하는것으로 교체한 새로운 문..

[Sequelize] 2 - DB연결하기 1편에서 준비물을 전부 설치했다면 이어서 모델을 생성하고 DB를 연결해보자. 앞서 말한 준비물은 sequelize, sequelize-cli, mysql2다. 1 - 프로젝트 생성 작업할 디렉토리에 들어가서, 명령어를 통해 sequelize 프로젝트를 생성하자. # npm npx sequelize-cli init # yarn yarn sequelize-cli init 2 - config.json 설정 ./config 디렉토리에 들어있는 config.json은 연결할 DB의 정보를 설정해놓는다. 나는 mysql 로컬환경에서, test라는 스키마에서 작업 할 것이기때문에 코드를 아래와 같이 작성했다. { "development": { "username": "root"..
개요 용도는 ORM 뜻 그대로 객체와 관계형을 맵핑해주는 것. 배우고자 하는 기능의 예제들에 자주 쓰이기때문에 슥 넘기기보단 ORM에 이어서 사용법을 익혀두자. node에서 mysql을 다루니, 카테고리를 node로 선택~ Sequelize Sequelize는 다양한 RDS 및 SQL Server용 프로미스 기반의 Node 모듈이다. Sequelize-CLI Sequelize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다. Model 모델은 Sequelize의 핵심개념이다.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추상화 한다. Sequelize에게 DB의 테이블 이름, 열 ( 및 데이터 유형) 등 요소들의 *Entity에 대해 여러정보를 제공한다. 모델명과 테이블명은 달라도 동작하는데에는 지장없다. 예 ) 모델 = User..

개요 배포준비중인 앱에서 jwt 방식의 회원가입을 구현할 때 만난 새로운 단어다. 기존에는 node에서 mysql 명령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가공했다. ORM의 개념을 알고 node의 Sqquelize까지 확장시킨다면, JS언어만으로도 DB의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을것이다. 코드 작성 이전에 개념을 익혀두자. ORM (Object-Relational Mapping) ORM을 단순하게 표현하면 객체와 관계와의 설정이라고 한다. ORM에서 말하는 객체(Object)는 *OOP(Object_Oriented Programming)의 그 의미다. 관계는 *RD(Relational Database)를 의미한다. OOP와 RD를 맵핑해주는 도구이다. OOP도 RD도 각자의 영역이고 잘 쓰여지던 둘을 굳이 맵핑해주는 ..
결론부터 말하자면 해결 당시 상황 클라이언트(443포트)는 ajax요청 주소를 "https://aaa.com/api"로 설정하고, node express는 3002포트로 ssl을 인증받은 서버를 열어, get("/api") 주소에 mysql에서 호출한 데이터를 response 해준다. nginx에서 proxy pass를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받은 "https://aaa.com/api" 요청을 "https://aaa.com:3001/api"로 전달해준다. 상황1.(현재 채택된 방법) 굳이 node에 ssl인증을 받아야하나싶어 ssl을 인증을 빼고 그냥 서버를 열었다. 클라이언트(443포트)는 ajax요청 주소를 "https://aaa.com/api"로 설정하고, node express는 3002포트로 htt..

개요 linux2환경에서 node 와 mysql를 연결하던 도중 만난 오류 접근권한 확인 mysql> select host, user from mysql.user; 비밀번호 플러그인 체크 mysql> select host, user, plugin, authentication_string from mysql.user; 플러그인 변경 mysql> ALTER USER '유저네임'@'%'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패스워드'; 정상작동 참고 블로그 https://velog.io/@nari120/MySQL-ERNOTSUPPORTEDAUTHMODE-%EC%97%90%EB%9F%AC-%ED%95%B4%EA%B2%B0 [MySQL 8.0] nestjs 연동시 에러 해결 ..
개요 : AWS ec2 linux2 환경에서 mysql-server 설치 도중 막힘 GPG key 관련 사항으로 보임 내용 : The GPG keys listed for the "MySQL 8.0 Community Server" repository are already installed but they are not correct for this package. Check that the correct key URLs are configured for this repository. 해결 : 스택오버플로우를 참고하여,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고나서 다시 yum 해보니 설치됨 # rpm --import https://repo.mysql.com/RPM-GPG-KEY-mysql-2022

개요 리액트의 여러가지 훅을 경험해보고있지만, 작동을 시키면서도 아직 몇가지 이해가 안가던 훅들이 있었다. 그중에 하나가 useReducer인데 그에 대해 개념을 잡아두자. 자기전에 핸드폰으로 글을 보는데, 갑자기 머릿속에 코드가 진행되는게 슥슥 그려져서 잊지않길 바라며 작성한다. 리덕스에서도 쓰이는 개념이기때문에 리덕스에 입문하기전에 미리 알아두면 좋을것같다! Reducer란? - 리듀서는 이전 상태와 동작을 받아 새 상태를 리턴한다. - 반드시 순수 함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호출이나, HTTP 호출 등 외부의 데이터 구조를 변형하는 호출은 허용되지 않는다. - 리듀서는 항상 현재 상태를 '읽기 전용'으로 다룬다. 기존 상태를 변경하지는 않지만 새 상태를 리턴할 수 있다. 리듀서를 이루는..

개요 작업 당시 환경 - AMI amazon linux2 - nginx를 통해 80 포트의 웹서버를 가동 중 - 가비아 도메인을 사용 - 웹서버를 구축하는 단계에서 보안을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기본적인 요소라 생각한다. 이번에 AWS EC2를 통해 열은 서버에 도메인을 연결했는데 브라우저로 들어가 보면 불안한 사이트라고 놀리더라. 그래서 도메인에게 SSL 인증서를 발급받아주려고 한다. 먼저 사전에 알아두면 좋은 지식을 훑고 가 보자 HTTP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서버에서부터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음 HTTPS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SSL을..

AWS EC2 고정 ip (Elastic ip) 설정해주기 개요 고정 ip를 쓰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지금 당장 나는 PuTTY를 통해 접속할 때마다 퍼블릭 DNS를 써주기 귀찮아서가 제일 크다. 그 외에도 구입한 도메인을 연결하기위해서다. 앞으로 사용해야 할 mysql과도 연관이 있을까 싶지만, 인스턴스를 켜 두면 localhost로 db에 접근하는데 문제가 없을 거라고 생각이 든다. 각설하고 고정 ip를 세팅해보자 비용 생각지 못한 비용이 지불될까 불안하다면 AWS에서 안내해주는 포스트를 확인해보자.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elastic-ip-charges/ 탄력적 IP 요금에 대한 이해 Amazon Elas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