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리액트
- prettier
-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 EC2
- react
- .env
- vscode
- express
- utf8mb4
- next #middleware
- s3확장자
- 자연수 뒤집어 배열로 만들기
- interactive_timeout
- 프리티어
- 커밋 한번에
- axios
- 코딩테스트
- 리액트코드정렬
- useReducer
- 자동완성방지
- reacts3
- 프로그래머스
- dotenv
- 코드정렬
- max_allowed_packet
- elasticIP
- Node
- AWS
- MySQL
-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 Today
- Total
목록프로젝트 (31)
Sungtt

현재 제작한 로그인 페이지의 id(email) input value가 useEffect를 통해 미리 채워져 있는 경우는 총 3가지다. 1. URL에 queryString에서 email을 참조하여 값 출력 2. 로컬스토리지에 저장된 이메일을 참조하여 해당 값 출력 3. 로컬스토리지에 저장된 이메일이 없어서 공백 출력 이렇게 만든 이유는 방금 가입했을 때 로그인 페이지에서 다시금 이메일을 타이핑해야하는 사용자를 배려하기위함이었다. 찾아본 적은 없지만 여럿 사이트에 이런식의 UI를 쓰고있지않을까싶다. 짧지만 해당 로직의 코드를 리팩토링하는 과정을 기록해본다. 코드 동작은 다음과 같다. 1. isMailSave과 'signedUpEmail'이 모두 있을 경우에는 우선순위인 'signedUpEmail'을 할당해준..

토요일 초저녁 디시인사이드에 글을 올렸다. 전보다 사용자가 많을 시간이라 10명뿐이던 1차에 비해 오후7시기준 60명까지도 접속하였다. 오후 8시 50분 기준 110명. 오후 11시 22분 기준 127명! 유저 피드백 - 디코처럼 좌측 하단에 알람 오는형태로 만들어달라 - 방이 다차면(닌텐도 상에서) 수동적으로 등록한 리스트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해달라 - 태그추가 해달라 = 스킬스왑 / 방장딜러 / 방장서폿 / - 어차피 메타인 태그 없어도 될거같다 = 1딜3서폿 - 홈페이지 한켠에 ?이나 도움말로 레이드 메타같은거 설명해주면 좋겠다 - 암호 더 가독성 좋게 해달라 - 작성폼에서 암호와 포켓몬명 순서 바꿔달라 추가하면 좋을거라고 느낀점은 - 공지사항 - 자유게시판 - 이전 레이드 조회 - 앱내부 알림이 ..
디시인사이드에 사이트를 만들었다고 글을 올렸다. 새벽이라 보는이가 많지 않았지만 글을 올린 순간 7~8명정도가 접속한것을 알 수 있었다. 보완해야할 점은 아래와 같았다 1. 아이폰에서의 게시글 출력 오류 모든 게시글이 방금 전이라고 뜨는 오류가 있다. moment 사용으로 해결 https://velog.io/@dody_/React-Library-Momentjs-fromNow-locale-%ED%95%9C%EA%B5%AD-%EC%8B%9C%EA%B0%84%EC%9C%BC%EB%A1%9C-%EC%88%98%EC%A0%95 [React Library📚] Momentjs fromNow(), locale 한국 시간으로 수정 안녕하세용 도디예용 오늘은 momentjs 가져왔어용! 시간관련된 작업은 momentjs를..
컬럼명 기본값 용도 비고 Index ++ 계정 인덱스 없음 Id '' 로그인 시 사용 영어,숫자로 2~10자 Nickname '' 게임 내에서 표시되는 사용자명 영어,숫자,특수문자로 1~10자 Password '' 사용자의 비밀번호 영어,숫자,특수문자 조합으로 5~20자 Salt '' JWT Salt 값 없음 Level 1 사용자의 레벨 없음 BasicDamage 100 사용자의 기본 공격력 스텟으로 증가 시킬 수 있음 BasicHp 300 사용자의 기본 체력 스텟으로 증가 시킬 수 있음 WeaponDamage 50 사용자가 장착한 펜의 공격력 펜 장착으로 증가 시킬 수 있음 기본값은 모나미 볼펜의 값을 따름 WeaponHp 500 사용자가 장착한 종이의 체력 종이 장착으로 증가 시킬 수 있음 기본값은 ..

도메인 구매 - dungeonnote.com 도메인 레코드에 aws퍼블릭ip로 @와 www 등록 ec2로 들어가 /home/ec2-user에서 해당 명령어 설치 sudo wget -r --no-parent -A 'epel-release-*.rpm' https://dl.fedoraproject.org/pub/epel/7/x86_64/Packages/e/ 레포 설치 sudo rpm -Uvh dl.fedoraproject.org/pub/epel/7/x86_64/Packages/e/epel-release-*.rpm epel 활성화 sudo yum-config-manager --enable epel* 활성화 확인 sudo yum repolist all certbot 설치 sudo yum install certbo..
git actions에서 ssh를 통해 들어가 npm run build를 실행할 때 권한이 없다는 오류를 만났다. build하려는 프로젝트폴더로 이동하여 아래 명령어를 적용하여 해결했다. sudo chown -R username: [path]./node_modules username은 whoami 를 치면 나오는 값을 사용하고 node_modules가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사용했다. sudo chown -R ec2-user: ./node_modules

aws 계정 정보 ec2 인스턴스 생성 키페어.ppk 생성 보안그룹 생성 탄력적 ip 생성 탄력적 ip 할당 PuTTyGen를 이용해 키페어.pem 생성 PuTTY를 이용해 인스턴스 접속 실행 sudo yum update 깃 설치 sudo yum install git 실행권한 부여 chmod 711 /home/ec2-user nvm 설치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9.1/install.sh | bash nvm 활성화 . ~/.nvm/nvm.sh node 설치(설치 당시 버전 18.9.0) nvm install node node 실행중인 버전 확인 node -e "console.log('Running Node.js ' + proc..
던전은 몬스터를 물리쳐 한 층씩 올라가는 계단식이다. 던전을 플레이하는 이유는 랭킹에 집계되는 기준이 던전의 층 수다. 높은 층 수에 올라야 랭킹에 오를 수 있다. 이 과정에 사용자게에 유의미한 선택지를 줄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환생? 환생 시스템은 흔히 말하는 노가다 육성게임에서 많이 쓰이는 시스템이다. 반복행동으로 인해 느껴지는 지루함을 환생을 했을 때 보상을 지급해주는것으로 하나의 목적성을 더 해줄 수 있다. 던전 컴포넌트에 환생 버튼을 만들고 모달창과 함께 보상을 안내해주자. 환생 시 1층이 되는것이 아니라 환생포인트(가명)에 따라 환생하는 층을 결정해주자. 70%까지 가능 0. 보상은? 현재 사용자가 높은층에 올라가기 위해 거쳐가는 컨텐츠는 볼펜 구매와 스킬이다. 볼펜은 골드가 수급되어야 구매..
개요 랭킹페이지는 useEffect를 통해 서버에 데이터를 받아와 랭킹을 출력해준다. 자신의 순위를 보여주는 api는 스토어의 userId를 인자로 담아 그 값을 조회해서 출력해준다. 다른 페이지에서 렌더링 후 진입한다면 스토어에 값이 할당 되어있어 문제없이 출력되지만 랭킹 페이지에서 새로고침 시 userId 스토어값에 값이 undifined라서 api요청을 해서 랭킹이 안나오는 오류를 만났다. 해결 과정 먼저 req객체의 id변수를 사용하고자했다. 하지만 새로고침시에는 req객체에 아무값이 들어있지않았다. 이 원인을 생각해보았다. 원인은 서버에서는 api요청마다 jwt검증을 진행하고 jwt엔 유저의 id가 들어있다. 이를 req.decoded.userId 변수에 할당하여 여기저기 사용중이다. 하지만 늘..

랭킹 페이지의 맨 처음과 맨 끝으로 가는 링크를 사용할지 고민했다. 이 링크가 내 페이지에 적용했을 때 적절한 UI일까? 적절한지는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을까? 어떤 기준? 정보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포털사이트의 경우 앞 페이지일수록 연관성이 높은 결과가 들어있다. 왜 그럴까? - 사용자에게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 정보를 습득하는 시간이 짧을수록 사이트에 대한 신뢰가 향상된다. 이 흐름은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페이지를 탐색하게끔 유도한다. (검색 결과가 총 1000페이지일 때 1000페이지부터 보는 사용자는 없을 것이다.) 앞선 얘기만으로도 맨 처음과 맨 끝으로 가는 링크를 쓰지 않는 아래 사이트의 UI가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심지어 네이버는 결과를 10페이지까지밖에 출력해주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