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연수 뒤집어 배열로 만들기
- 자동완성방지
-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 리액트코드정렬
- utf8mb4
- max_allowed_packet
- axios
- 커밋 한번에
- elasticIP
- 프로그래머스
- vscode
- interactive_timeout
- .env
- s3확장자
- Node
- 코드정렬
-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 코딩테스트
- AWS
- useReducer
- 리액트
- express
- react
- EC2
- next #middleware
- prettier
- MySQL
- 프리티어
- reacts3
- dotenv
- Today
- Total
Sungtt
2. 연산자의 종류 본문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하여 하나의 값을 만든다.
이때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operand)라 한다.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연산자 표현식도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다.
// 산술 연산자
4 * 5 // 20
//문자열 연결 연산자
'sung' + 'tt' // sungtt
'sung ' + 'tt'// sung tt
//할당 연산자
result = red // red
//비교 연산자
3 > 5 // false
//논리 연산자
true && false // false
//타입 연산자
typeof 'Hi' // string
1.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계산을 수행해 값을 만든다.
산술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NaN을 반환한다.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 이항 산술 연산자와 단항 산술 연산자로 구분한다.
1-1.이항 산술 연산자는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특징으로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효과가 없으며, 언제나 새로운 값을 만든다.
1 + 20; // 덧셈 21
1 - 20; // 뺄셈 -19
5 * 4; // 곱셈 20
5 / 4; // 나눗셈 1.25
5 % 4; // 나머지 1
1-2.단항 산술 연산자는 1개의 피연산자를 연산하여 값을 만든다.
5++ // 증가 6
5-- // 감소 4
+ // 아무 기능도 없다. 음수를 양수로 반전하지도 않음
- // 양수를 음수로, 음수를 양수로 반전한 값을 반환
증가/감소(++/--) 연산자는 위치에 의미가 있다.
피연산자 앞에 위치한 전위 증/감 연산자는 먼저 피연산자의 값을 증/감시킨 후 다른 연산을 수행한다.
피연산자 뒤에 위치한 후위 증/감 연산자는 다른 연산을 수행 후, 피연산자 값을 증/감 시킨다.
var x = 10, result;
// 피연산자 뒤에 있으므로 선할당, 후증가 한다.
result = x++;
console.log (result, x); // 10, 11
// 피연산자 앞에 있으므로 선증가, 후할당 한다.
result = ++x;
console.log (result, x); // 11, 11
// 피연산자 뒤에 있으므로 선할당, 후감소 한다.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11, 10
// 피연산자 앞에 있으므로 선감소, 후할당 한다.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10, 10
//아무 효과도 없다
+10; // 10
+(-10) // -10
//부호를 반전한다.
-(-10); // 10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에 + 단항 연산자를 사용하면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정확히는 피연산자를 변경하는것이 아닌, 변환한 값을 새로 생성한다.
var x = '1'; // 문자열 1
console.log(+x); // 1
console.log(x); // '1'
x = true
console.log(+x); // 1
console.log(x); // true
x = false
console.log(+x); // 0
console.log(x); // false
x = 'Hello'
console.log(+x) // NaN (Not a Number의 약자)
console.log(x) // Hello
2.문자열 연결 연산자는 +연산 수행 중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인 경우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동작한다.
그 외의 경우에는 산술 연산자로 동작,
//문자열 연결 연산자
'1' + 2; // '12'
1 + '2' // '12'
// 산술 연산자
1 + 3 // 4
//true는 1로 타입 변환된다.
1 + true // 2
//false는 0으로 타입 변환
1 + false // 1
//null은 0으로 타입 변환
1 + null // 0
//undefined는 숫자로 타입변환 되지 않음
1 + undefined // NaN
3.할당 연산자는 우항에 있는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좌항에 있는 변수에 할당.
할당 연산자는 좌항의 변수에 값을 할당하므로 변수 값이 변하는 부수효과가 있음.
let x;
x = 10 // 10
x += 5 // x = x + 5 // 15
x -= 5 // x = x - 5 // 10
x *= 5 // x = x * 5 // 50
x /= 5 // x = x / 5 // 10
x %= 5 // x = x % 5 // 0
//문자열 연결 연산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let result =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
result += 'sungtt입니다';
console.log(result); //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sungtt입니다
4.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를 비교한 다음 결과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if문이나 for문과 같은 제어문의 조건식에서 주로 사용한다. 비교 연산자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4-1.동등/일치 비교 연산자
동등/일치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가 같은 값으로 평가되는지
비교해 불리언 값을 반환한다. 동등과 일치는 비교하는 엄격성의 정도가 다르다.
비교 연산자 | 의미 | 사례 | 설명 |
== | 동등 비교 | x == y | x와 y의 값이 같음 |
=== | 일치 비교 | x === y | x와 y의 값과 타입이 같음 |
!= | 부동등 비교 | x != y | x와 y의 값이 다름 |
!== | 부일치 비교 | x !== y | x와 y의 값과 타입이 다름 |
동등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를 비교할 때 먼저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타입을 일치시킨 후
같은 값인지 비교한다. 그렇기때문에 결과예측이 어려울 때도 있어, 때에 따라 일치 비교를 통해 더 쉽게 예측할 수 있다.
10 == 10; // true
10 == '10'; // true 암묵적 변환을 통해 일치시키면 동등하다.
'sungtt' == 'sungtt'; // true
10 === 10; // true
10 === '10'; // false 암묵적 변환을 하지않고, 값과 타입을 비교한다.
NaN === NaN; // false NaN은 자신과 일치하지않는 유일한 값이다.
// NaN 조사는 isNaN 빌트인 함수 참조
0 === -0; // true 자바스크립트에는 양과 음의 0이 따로 존재하지만 true로 반환하는것을 주의하자
0 == -0; // true
Object.is(-0,+0); // true
// 정확한 비교는 ES6의 Object.is 메서드 참조
4-2.부동등/부일치 비교 연산자는 반대 개념이다.
//부동등 비교
10 != 8; // true
8 != 8; // false
//불일치 비교
10 !== 8; // true
8 !== 8; // false
5 !== '5'; // false
5.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크기를 비교하여 불리언 값을 반환한다.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 예제 | 설명 | 부수효과 |
> | x > y | x가 y보다 크다 | X |
< | x < y | x가 y보다 작다 | X |
>= | x >= y | x가 y보다 크거나 같다. | X |
<= | x <= y | x가 y보다 작거나 같다. | X |
6.삼항 조건 연산자
삼항 조건 연산자는 조건식의 평과 결과에 따라 반환할 값을 결정한다.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다음과 같다.
조건식 ? 조건식이 true 시 값 : 조건식이 false 시 값;
// 조건식 ? 조건식이 true일 때 반환할 값 : 조건식이 false일 때 반환할 값;
let score = 50
let result = score >= 60 ? 'pass':'fail';
console.log(result); // 'fail'
7.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 의미 | 부수 효과 |
|| | 논리합(OR) | X |
&& | 논리곱(AND) | X |
! | 부정(NOT) | X |
우항과 좌항의 피연산자(부정 논리 연산자의 경우 우항의 피연산자)를 논리 연산한다.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true
false || false; // false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false
false && false; // false
!true; // false
!false; // true
8.쉼표 연산자
쉼표(,)연산자는 왼쪽 피연산자부터 차례대로 피연산자를 평가하고 마지막 피연산자의 평가가 끝나면
마지막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반환한다.
let x, y, z;
x = 1 , y = 2, z = 3; // 3
9.그룹 연산자
소괄호('()')로 피연산자를 감싸는 그룹 연산자는 자신의 피연산자인 표현식을 가장 먼저 평가한다.
따라서 그룹 연산자를 사용하면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룹 연산자는 연산자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10 * 2 + 3; // 23
10 * ( 2 + 3 ) // 50
10. typeof 연산자
typeof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데이터 타입을 문자열로 반환해준다. null 타입 확인은 === 사용.
typeof '' // sritng
typeof 1 // number
typeof NaN // number
typeof true // boolean
typeof undefined // undefined
typeof symbol() // symbol
typeof null // object
typeof [] // object
typeof {} // object
typeof new date() // object
typeof /test/gi // object
typeof function() {} // function
11. 지수 연산자
ES7에서 도입. 지수 연산자는 좌항의 피연산자를 베이스로, 우항의 피연산자를 지수로 거듭 제곱해 숫자값을 반환한다.
2 ** 2; //4
2 ** 2.5; // 5.65685424949238
2 ** 0; // 0
2 ** -2; // 0.25
-5 ** 2 ; // SyntaxError ( -를 연산자로 인식하기때문)
(-5) ** 2; // 25
12.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
90p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이벤트 핸들러의 방식 (0) | 2022.01.08 |
---|---|
5. data어트리뷰트와 dataset프로퍼티 (0) | 2022.01.07 |
4. html노드 생성과 삭제 (0) | 2022.01.06 |
3. DOM 스크롤 실시간 감지 (0) | 2022.01.04 |
1. 변수란 무엇인가?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