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xpress
- next #middleware
- react
-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 리액트코드정렬
- useReducer
- 자연수 뒤집어 배열로 만들기
- prettier
- elasticIP
- axios
- 코드정렬
- MySQL
- 프로그래머스
- 커밋 한번에
- max_allowed_packet
- Node
- reacts3
-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 리액트
- AWS
- 코딩테스트
- interactive_timeout
- .env
- EC2
- dotenv
- utf8mb4
- s3확장자
- 자동완성방지
- 프리티어
- vscode
- Today
- Total
Sungtt
Lev.1 프로그래머스 푸드파이트 대회 본문
프로그래머스 [푸드파이트 대회]
문제 설명
수웅이는 매달 주어진 음식을 빨리 먹는 푸드 파이트 대회를 개최합니다. 이 대회에서 선수들은 1대 1로 대결하며, 매 대결마다 음식의 종류와 양이 바뀝니다. 대결은 준비된 음식들을 일렬로 배치한 뒤, 한 선수는 제일 왼쪽에 있는 음식부터 오른쪽으로, 다른 선수는 제일 오른쪽에 있는 음식부터 왼쪽으로 순서대로 먹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중앙에는 물을 배치하고, 물을 먼저 먹는 선수가 승리하게 됩니다.
이때, 대회의 공정성을 위해 두 선수가 먹는 음식의 종류와 양이 같아야 하며, 음식을 먹는 순서도 같아야 합니다. 또한, 이번 대회부터는 칼로리가 낮은 음식을 먼저 먹을 수 있게 배치하여 선수들이 음식을 더 잘 먹을 수 있게 하려고 합니다. 이번 대회를 위해 수웅이는 음식을 주문했는데, 대회의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음식을 주문하여 몇 개의 음식은 대회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3가지의 음식이 준비되어 있으며,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1번 음식을 3개, 2번 음식을 4개, 3번 음식을 6개 준비했으며, 물을 편의상 0번 음식이라고 칭한다면, 두 선수는 1번 음식 1개, 2번 음식 2개, 3번 음식 3개씩을 먹게 되므로 음식의 배치는 "1223330333221"이 됩니다. 따라서 1번 음식 1개는 대회에 사용하지 못합니다.
수웅이가 준비한 음식의 양을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나타내는 정수 배열 food가 주어졌을 때, 대회를 위한 음식의 배치를 나타내는 문자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food의 길이 ≤ 9
- 1 ≤ food의 각 원소 ≤ 1,000
- food에는 칼로리가 적은 순서대로 음식의 양이 담겨 있습니다.
- food[i]는 i번 음식의 수입니다.
- food[0]은 수웅이가 준비한 물의 양이며, 항상 1입니다.
- 정답의 길이가 3 이상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직접 풀이 결과
function solution(food) {
let b = []
let a = food.slice(1).map((i)=>{
if(i%2 === 1 ){
return (i - 1 )/ 2
}else{
return i / 2
}
})
a.forEach((i,index)=>{
for(let j = 0; j < i; j++ ){
b.push(index+1)
}
})
return b.join('')+'0'+b.reverse().join('');
}
우선 제출에 성공하기위해 작성한 날것의 코드다.
food의 첫번째 요소는 무조건 물이기때문에 필요없는 값이라 생각하여 slice로 잘라주었다.
그 뒤에 요소들은 홀수일 경우 -1, 짝수일 경우 그대로 2로 나눈 배열을 생성해주었다.
그리고 그 배열을 순회하면서 해당 요소만큼 반복하는 for문을 호출하여
필요한 음식 수만큼 빈배열에 push를 해준다.
이 배열을 join한것과, reverse().join한것을 0과 합쳐 답을 도출했다.
참고 풀이 결과 - 1
function solution(food) {
let res = '';
for (let i = 1; i < food.length; i++) {
res += String(i).repeat(Math.floor(food[i]/2));
}
return res + '0' + [...res].reverse().join('');
}
다른 사람 풀이는 코드가 너무 짧아서 놀랐다.
food의 배열길이만큼 반복하는 for문으로 res에 문자를 할당해준다.
i를 string으로 변환하고, 음식의 수만큼 repeat한다.
repeat(n)는 앞에 string을 n만큼 반복시켜주는 메소드다.
예를 들어 food[i]가 3일 경우 이를 2로 나누고, 1.5를 floor를 이용해 1을 반환.
res는 1이 된다.
이어서
ex) food[i] = 6
2로 나누어 3을 반환 i = 2 를 3번 반복
1222가 된다.
이어서는 나와 비슷한 방식으로 0과 res를 뒤집어 합쳐 리턴시키는 방식이다.
실제로 연산속도도 이 방법이 더 빨랐다.
'코테'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v.1 프로그래머스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0) | 2023.03.19 |
---|---|
Lev.1 프로그래머스 정수 제곱근 판별 (0) | 2023.03.19 |
Lev.2 프로그래머스 가장 큰 수 JavaScript, 정렬 (0) | 2023.01.23 |
알고리즘의 종류 (0) | 2022.11.27 |
Lev.1 같은 숫자는 싫어 (0) | 2022.05.09 |